본문 바로가기

try catch

(4)
면접족보 21/01/15_데이터 무결성, 부모키 1. 아래를 try catch 로 처리하지 않으면 에러가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. · SQLException은 checked Exception으로 개발자가 반드시 예외처리를 해야하는 Exception이므로 try-catch를 통해 예외처리하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한다. 2. 데이터 무결성을 위한 제약조건 4가지는? · 제약조건이란? 데이터에 무결성이 없어야 하며, 테이블에 부적절한 자료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이블을 생성 할 때 컬럼에 대해서 정의하는 규칙이다. · 데이터 무결성을 위한 제약 조건은 크게 4가지로 나뉘며, 제약 조건은 편집에서 확인 및 설정 가능하다. 1)NOT NULL은 NULL을 허용하지 않아 반드시 값이 입력되도록 하는 제약 조건이다. 2)UNIQUE은 컬럼에 대해 중복된..
면접족보 20/12/16_예외처리 1. throws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 · 코드의 문법적 오류가 아닌, 프로그램 실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예외처리는 반드시 명시해 주어야 하는데 throws절 선언 혹은 try~catch를 사용하여 예외처리를 한다. · throws 키워드의 선언을 통해 예외 처리를 넘길 수 있으며, 이 때 throws는 함수 단위로 사용된다. (메소드 이상으로는 넘길 수 없으므로 throws Exception() 형태의 선언은 불가) 2. 아래가 컴파일 에러가 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 · Exception은 InputMismatchException를 포함하는 상위클래스이므로 자식클래스를 재차 선언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. 3. try-with-resource 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 · try-catch 예외처리 하..
면접족보 20/12/15_추상메소드, 예외처리 1. Marker interface란? · Marker는 interface의 한 종류로 클래스에 특정 표시를 해두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. · 즉, 클래스를 마킹하여 종류를 분류해주는 역할을 하며 Lower{}, Upper{} 등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한다. 2. abstract 키워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 · abstract 키워드는 메소드와 클래스 앞에 표기 가능하고, 추상메소드/추상클래스라 정의한다. · abstract는 추상메소드를 이용하여 "자손 class가 구현하라" 라는 의미를 지닌다. · 클래스 내에 추상메소드가 한 개라도 존재한다면 추상클래스라 정의하며, abstract class로 변경해야한다. (메소드와 마찬가지로 구현부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인스턴스 생성이 불가, 변수 선언은 가..
예외처리 1. 에러와 예외의 차이는? ※에러란? · 시스템에 비정상적인 상황을 말하며, 원인이 로직에서 존재하지 않는다(코딩상의 문제X) · 코딩상의 문제가 아니며 메모리가 꽉 찼을 떄 등의 문제를 말한다. ※예외란? · Exception은 개발자가 구현한 로직에서, 실행 도중 발생하는 정상적이지 않은 상황을 말한다. · 자바의 예외처리 메커니즘은 문제가 발생하는 지점에 대한 정보 출력과 동시에 프로그램을 종료시킨다. 2. try-catch 하는 이유? · 예외가 발생할 수 있는 구문에 예외처리가 되어 있지 않다면 해당되는 시점부터 실행이 끝나버리지만, try~catch를 통해 예외처리가 되어있다면, jvm이 프로그램을 살리기 위해 해당객체로 넘겨서 해결한다. ♣예외 발생 이후의 실행 흐름♣ · 아래와 같이 실행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