재귀함수 (3) 썸네일형 리스트형 코딩 테스트(JS)_정렬 ※ 정렬 기초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// 1. 숫자 정렬let data = [3,5, 2, 1, 4];console.log('source : ' + data); // data.sort((a,b)=>a-b);data.sort((a,b)=>{ if(ab) return -1; if(a>b) return 1; if(a==b) return 0;}) console.log('result : ' + data); // 2. 문자 정렬: 대문자의 경우 맨 앞으로 정렬됨let strData = ['fineapple', 'durian', 'carr.. 면접족보 20/12/01_클래스와 객체 개념 1. 아래가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는 이유를 설명하시오. · ch와 '\n'를 각 각 메모리에 올려야하는데 타입을 먼저 잡아야 하므로 char 타입으로 메모리에 올리게된다. · char 형이므로 '\n'는 유니코드 값을 찾아서 ch값과 연산되면서 int형으로 값이 출련된다. (char 타입은 16bit이므로 32bit에 맞는 int 타입으로 자동 형변환되어 출력) · "\n"로 수정 시, 개 행이 실행되는 이유? · 연산 실행 시 데이터 타입을 맞춰야 하는데 "\n" 는 String(4byte)이므로 개 행이 실행된다. · 또 다른 ex) 2. 변수의 scope란? · scope란 영역이라는 의미로, 변수에 대한 scope 영역은 중괄호{} 범위 내이다. · 메소드 내에서 선언한 변수는 해당되는 메.. 메소드와 변수의 Scope 1. 메소드란? · 메소드란 클래스 내에서 선언되며 메소드 호출에 따라 동작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. · 메소드는 입력값(매개변수)와 결과값(리턴값)이 존재한다. 2. 함수는 어떻게 알아 볼 수 있는가? · 괄호() 앞에 존재하는 것이 함수이며, main(), println() 여기서 main, println을 메소드라 한다. · 자바의 법칙: 자바에서는 JVM이 실행될 때 해당 class가 메모리에 올라가고 기본적으로 main 메소드부터 찾아 실행된다. 3. 함수는 언제, 어떻게 만드는가? ※ 언제 함수를 만드는가? 즉, 왜 함수를 만드는가? · 중복되는 기능이 2개 이상이 있는 경우, 중복 될 가능성이 있을 때 함수를 생성하여 활용한다. (1~10층 별석탑을 찍으려고 하는데 함수를 작성하지 않으면 1.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