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터럴 (3) 썸네일형 리스트형 면접족보 21/01/20_DI, IoC 1.아래를 설명하시오. ※DI(Dependency Injection) · DI는 의존 관계 주입을 의미하며 객체를 직접 생성하는게 아닌 외부에서 생성한 후 주입 시켜주는 방식이다. · 의존관계란? 부모/자식과 같은 상속 관계와는 다르게, Computer에 Cpu가 반드시 필요한 것처럼 없어서는 안되는 관계를 일컫는다. · 객체 생성 방법? 다이렉트 객체 생성 방법과 생성자를 통한 객체 생성 방법이 있으며, 생성자 방법은 다른 class의 main함수를 통해 객체를 생성하므로 외부 주입에 의해서 객체가 생성된다. ※IoC(Inversion of Control) · 제어의 역전이라는 의미로 메소드나 객체의 호출 작업을 개발자가 결정하는 것이 아닌, 외부에서 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. · 각각의 객체를 생성하는.. 면접족보 20/11/25_형변환, 상수와 변수 1. 키워드란 무엇인가? · 키워드란? package, public, class, static, void, 등등을 일컫는다. (변수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음) (boolean, char, byte, short, int, long, float, double 자료형도 키워드에 포함된다.) 2. 2의 보수법이란? · 양의 정수 표현법을 기반으로 음의 정수를 표현한다면 두 개의 합이 0이 저장되어야 하지만 오류가 발생한다. 이러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2의 보수법을 이용하여 음의 정수를 표현한다. · ex) 양수 25 와 음수 25를 합한다면? 0의 값이 출력되지 않음. 3. 음의 정수 표현법 · 양의 정수 이진수에 1의 보수를 취한 후, 그 값에 1을 더하여 음의 정수를 표현. · ex) 음수 25, 2진수.. 상수와 형변환 1. 키워드란 무엇인가? · 키워드란? package, public, class, static, void, 등등을 일컫는다. (변수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음) (boolean, char, byte, short, int, long, float, double 자료형도 키워드에 포함된다.) 2. 초기화란 무엇인가? · 초기화란? 해당 변수에 처음으로 값을 할당하는 행위이다. 3. 상수란 무엇이며 변수와의 차이는? · 상수란? Constant, 단 한 번만 값을 할당할 수 있으며 변경이 불가능하다. (변수 != 상수) · 중도에 값이 절대 변경되면 안되는 경우 상수를 사용하며 프로그램 도중에는 수정할 수 없다. · 변수와의 차이점? 상수는 값이 변하지 않지만 변수는 입력할 때마다 값이 변하며, 상수 입력 시 .. 이전 1 다음 1/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