다향성 (1) 썸네일형 리스트형 접근제한자와 캡슐화 1. 접근제한자 4가지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 · public: 다른 패키지 내에 있는 클래스를 통해 객체 생성을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. (즉, 모든 패키지 내에서 인스턴스 생성이 가능) · protected: 한 번의 상속을 한다는 의미이다. · default: public의 역할과는 반대로 동일 패키지로 묶인 클래스 내에서만 객체 생성을 허용한다. · private: 다이렉트로 값을 넣을 수 없게 만드는 정보은닉의 역할을 한다. 2. class에 표기가능한 접근제한자를 설명하고, 해당 접근제한자의 사용 목적이 무엇인가? · class에는 2개의 접근제한자 public과 default(class 앞에 표기하지 않은 상태가 default) 표기가 가능하다. · 2개의 접근제한자를 통해 다른 패.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