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bitcamp/면접족보

면접족보 20/11/24_변수와 자료형

1. 주석이란 무엇이며, 종류는?

· 주석이란? 컴파일러 되지 않게 코드에 메모할 수 있는 기능이며,

 작성한 코드를 타인이 혹은 본인이 나중에 쉽게 알 수 있게 정리해 둔 메모이다. 종류로는 /* */, // 이 있다. 

 

2. 주석은 컴파일시 어떻게 나타나는가?

· 주석은 위치에 관계없이 처리가 가능하며, 주석 처리 된 부분은 제외하고 컴파일되어 해당 내용은 출력되지 않는다.


3. 들여쓰기는 왜 해야 되는가?

· 기본적으로 4개의 빈 칸을 단위로 사용하며, 코드의 가독성을 높여 이해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.

· 코드 상의 중괄호{}는 Class대한 소스코드 내용을 의미(즉 Class 코드 안에 속한다는 의미)를 지닌다.

4. 변수란?

· 변할 수 있는 수를 말하며(Variable), 메모리 공간을 형성하여 할당된 공간에 메모 및 저장된다.

· 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상의 공간을 의미하며, 메모리 공간의 할당과 접근을 위해 필요한 도구이다.


5. 8형제(자료형)을 써보세요(feat.외우세요).

· 자바의 자료형은 크게 기본형(8개) + 참조형(1개)로 나뉜다.

 

6. 변수선언의 의미는 무엇인가?

· 변수의 선언은 메모리 공간 할당으로 이어지며, 그와 동시에 변수의 이름과 용도가 결정된다.

· ex1) num1, num2의 선언

· ex2) int num1;  num1 = 10;

 변수 num1을 선언하면 num1 이라는 메모리 공간이 생성되어 할당된 공간에 정수 10이 저장되고,

 컴퓨터에서 인식할 수 있는 기계어 이진수로 변환되어 메모리에 저장된다.

 

7. int 형 범위는 어떻게 되는가?

· 1byte는 8bit에 해당되어 int는 4byte이므로 32bit의 크기를 지닌다. (메모리에 2의 32승 할당 공간이 생성)

· 음수 부호부터 지정하면 -2,147,483,648 ~ 2,147,483,647 의 범위가 형성된다.

 

8. int num; 을 메모리로 설명해 보세요.

· num 이라는 공간이 메모리에 생성되어 할당된 공간에 int (정수)형으로 저장된다.

· 이 때 메모리에는 주소가 생성되는데 OS에 의해 주소가 지정된다.


9. char ch1= 'A'; 문자가 출력되는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
· 전산상에서 문자 A는 유니코드표를 통해 숫자로 변경되고 CPU에서 사용되는 기계어(이진수)로 변경되어 프로그래밍된다.

· char ch = '1' 과 int num = 1 의 차이점

 ch의 1은 문자로 인식되어 코드표를 통해 실행되고 num의 1은 숫자로 인식된다.

· encoding이란? '1' → 34 문자를 숫자로 변경하는 과정, decoding이란? 34 → '1' 숫자를 문자로 변경하는 과정

 System.out.println(ch); 실행 시에 1이 출력되는 이유는 char를 역으로 찾기때문에 1로 해석되어 출력된다.

 (문자의 저장은 유니코드 값의 저장으로 이어진다)

 

10. 아스키 코드란?

· 입력된 문자나 기호들을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이진수로 변환되어야 하는데 아스키 코드표를 통하여 실행된다.

· 아스키코드표(영어기준-표준/ A=65, B=66, C=67), 유니코드표(통합)